HOME                로그인

구약 성경 다시 읽기
박수칠 때 떠나다, 모세(1)


글 강수원 베드로 신부 |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성경학 교수

 

“이스라엘 자손들이 울부짖는 소리가 나에게 다다랐다. … 내가 이제 너를 파라오에게 보낼 터이니, 내 백성 이스라엘 자손들을 이집트에서 이끌어 내어라.”(탈출 3,9-10)

 

오경(五經, Pentateuch)의 주인공, 모세

구약 성경의 첫 다섯 권(창세기~신명기)인 오경은 이스라엘의 신앙과 역사 그 모두의 근저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책들입니다. 여기에는 천지 창조부터 이스라엘의 가나안 입성 직전까지의 구원 역사가 담겨 있는데, 특히 하느님께서 이스라엘을 이집트 종살이에서 구해내시고 시나이 산에서 그들과 계약을 맺어 당신 백성으로 삼으셨던 일(탈출 1-19장)은 이스라엘 백성뿐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가장 의미있는 구원 사건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중요성은 ‘천지 창조로부터 성조들의 시대 전체’를 아우르는 그 장구한 세월이 창세기 한 권에 담겨 있는 반면, ‘이집트 탈출과 광야 여정’의 단 40년간의 이야기가 탈출기부터 신명기까지 무려 네 권의 책(탈출 12,43-신명 34,12)에 소상히 담겨 있는 것만 봐도 분명합니다. 이 네 권의 책의 주인공이 바로 모세입니다.

 

하느님께서 진작부터 예비하신 사람, 모세

야곱이 온 가문을 이끌고 이집트 고센 지방에 정착한 지 430년이 지나, 이스라엘은 이제 장정만도 육십만 가량에 이르는 큰 민족이 되었습니다.(탈출 12,37-40 참조) 하느님께서 성조들에게 하셨던 자손의 약속(창세 12,2; 15,5; 26,4; 28,14)이 인간의 그 숱한 의심과 죄의 역사를 넘어 얼마나 한결같이 이루어져 가고 있었는지 깨닫게 되는 대목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하느님의 축복조차 누군가에게는 커다란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히브리 노예들이 반란을 일으킬까 두려웠던 파라오는 그들을 더 거세게 억압하며 갓 태어난 사내아이들을 죽이라 명했고, 그 덕에(?) 모세는 강가에 버려졌습니다. 분명 인간의 죄와 욕심으로 일어난 참극이었습니다. 그러나 히브리 사내아이들을 모조리 죽이라던 파라오도, 석 달된 피붙이를 강가에 버려야 했던 어머니도, 아기를 건져냈던 공주도 아무도 몰랐습니다. 그런 비극조차 결코 단순한 우연이 아니었음을 말입니다. 모세는 이집트에 들어간 이들로부터 네 번째 세대에 속하는데(레위.크핫.아므람.모세), 이는 과연 하느님께서 이미 아브라함에게 “그들은 사 대째가 되어서야 여기[가나안 땅]로 돌아오리라.”고 약속하셨던 말씀(창세 15,16) 그대로였습니다.

 

보장된 미래와 영화를 버리고 하느님의 백성 속으로

억압과 절망 속에서 노예로 살던 이들이 신념을 갖고 자유와 해방으로 나아갔던 탈출기 이야기는 신앙인과 비신앙인 모두에게 희망 가득한 영감을 불어넣습니다. 실제로 디즈니 만화 이집트 왕자(The Prince of Egypt, 1998)나 엑소더스(Exodus: Gods and Kings, 2014) 같은 유명한 영화도 있었는데, 이들은 하나같이 모세를 이집트 궁중에서 자라난 ‘왕자’로 그려냅니다. 성경은 모세의 이름을 ‘물에서 건져낸 이’(히브리어로 ‘모셰 ’)라는 의미로 설명하고 있지만(탈출 2,10) 사실 이 이름은 이집트 식으로 ‘아들’을 뜻하며 투트-모세(Tut-mose: 지혜의 신 토트의 아들)나 라-모세(Ra-mose: 태양신 라의 아들)처럼 이집트의 위대한 왕들의 이름에 들어가기도 합니다.

분명 모세는 이집트 공주가 “자기 아들로 삼아”(2,10) 궁중에서 키운 귀인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보장된 미래와 영화를 누리는데 안주하지 않고, 억압받고 폭행당하는 하느님 백성에게로 향했습니다. “땅 위에 사는 어떤 사람보다도 겸손한”(민수 12,3) 모세가 강제 노역을 하는 동족을 학대하고 폭행하던 이집트인을 쳐 죽였던 일은(2,11-14) 그가 살인을 했다는 점보다는 약자에 대한 연민과 동족에 대한 애정을 가슴 깊이 품고 있었다는 사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모세의 의로운 심성은 피난길 중에 미디안 사제 르우엘의 딸들을 목자들의 패악질로부터 구해주었던 일(2,15ㄴ-17)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의로움과 약자에 대한 연민으로 가진 것을 모두 내던지고 하느님의 길을 간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그걸 모르는 사람은 우리 중 아무도 없겠지요.

 

기다림, 그리고 부르심

모세는 자유와 해방의 맛과 의미를 잊어버린 이스라엘 백성에게 외면당했고(탈출 2,13-14; 사도 7,25 참조) 파라오까지 자신을 죽이려하자 멀리 도망가야만 했습니다. 모세의 피신 이야기(탈출 2,15ㄴ-4,18)는 하란으로 피신했던 야곱의 일화(창세 29-31장)를 떠올리게 합니다. 야곱이 그러했듯, 모세 역시 도피하여 객지에 몸붙여 살던 인생의 가장 밑바닥에서 하느님을 만나 부르심을 받았고(3,1-4,17) 그분 구원의 도구로서 새 삶을 시작하게 됩니다. 사실 모세의 생애 전체가 오롯이 하느님의 섭리 안에 있었습니다. 모세가 이집트 궁중에서 보낸 40년(사도 7,23)은 파라오와 대등하게 맞서 싸우기 위한 이집트 궁중 학문과 지혜를 배우기 위한 기간이었고, 미디안 땅에서 목동으로 산 40년(사도 7,30)은 장차 척박한 광야에서 어리석은 백성을 지켜낼 목자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기간이었습니다. 그 두 번의 40년 후에야 비로소 모세는 이어지는 40년의 광야 여정 동안 그 죄 많고 고집 센 백성을 지키고 인도해 낼 하느님의 사람이 됩니다. 이렇듯 하느님의 일이, 그분 구원의 열매가 우리 안에 결실을 맺기까지는 우리가 반드시 참고 인내해야 할 시간들이 있습니다. 꼭 마음에 새겨야 할 사실입니다.

때가 되자, 하느님께서는 호렙 산 위 떨기나무의 불꽃 속에서 모세를 부르셨습니다. 거룩한 땅에서 신을 벗고 얼굴을 가린 겸손한 모세에게 하느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구해내라는 사명과 함께 당신의 이름 “야훼(YHWH: 神名四文字)”를 처음으로 계시하셨습니다.(3,14-15) 야훼라는 이름은 ‘…이다. 존재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히브리어 동사 ‘하야 ’에서 온 것으로, ‘스스로 있는 자로서 모든 피조물을 존재케 하시는 창조주’ 하느님의 본성을 드러냅니다. 이 이름(“있는 나”: 3,14)은 하느님께서 어떻게 백성들 가운데 ‘현존’하시며 ‘몸소’ 그들을 구원의 땅으로 이끌어 가실지를 미리 예고하고 있습니다.

 

떨치고 일어나 자유와 생명의 길로

하느님께서 당신 섭리로 진작부터 준비시키신 모세였지만 그 역시 처음부터 완전한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당신 백성을 이집트에서 이끌어 내라는 하느님의 명령을 연이어 네 번이나 거부했으니까요.(탈출 3,11; 4,1.10.13) 겸손하지만 한편으로 겁 많고 소심했던 모세를 계속해서 달래시며 ‘내가 도와주마, 너와 함께하여주마!’ 설득하시는 하느님의 모습을 대할 때마다(3,12; 4,2-9.11-12.14-17) 어찌 그리도 자상하신지 늘 흐뭇하고 감사한 미소가 절로 지어집니다. 사실 이집트 임금 파라오와 싸워 백성을 구하고 그들을 광야를 거쳐 약속의 땅으로 인도해야 하는 그 억척스런 사명 앞에서 모세가 어찌 쉽게 “예” 라고만 할 수 있었겠습니까만, 결국 그는 하느님의 도움과 현존의 약속을 믿고서 용기 있게 일어섭니다.

그렇게 자신의 길이 아닌 하느님의 길을 걷는 자, 자신을 살리기보다 하느님의 백성을 살리고자 나선 이에게서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납니다. 탈출기 저자는 완고한 파라오에게 주어진 열 가지 재앙을 창조주 하느님께서 이집트의 신들을 굴복시키셨던 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 몇 가지만 예로 들자면, 나일강 물이 피로 변한 일은 나일강의 신들인 크눔(Khnum)과 하피(Hapi)에 대한 승리를, 개구리들을 죽여 없애신 일은 개구리 머리를 가진 다산의 여신 헤켓(Heqet)에 대한 승리를, 이집트를 뒤덮었던 암흑은 이집트 최고신인 태양신 라(Ra)에 대한 야훼 하느님의 승리를 의미합니다. 결정적으로 마지막 열 번째 재앙, 곧 이집트의 모든 맏아들과 맏배가 죽임을 당한 일은 이스라엘의 하느님이야말로 생명과 죽음을 주관하시는 절대자이심을 만천하에 결정적으로 드러낸 사건이었고, 그제야 파라오는 완전히 굴복하여 그날 밤으로 당장 이스라엘 백성을 내보내게 됩니다. 이 밤중에 있었던 일들, 곧 어린 양의 피를 문설주에 발라 하느님의 백성임을 드러냄으로써 죽음을 넘겼던 일과 누룩으로 빵 반죽을 부풀게 할 틈도 없이 급하게 짐을 싸 이집트를 빠져나왔던 일이 장차 그 유명한 구약의 파스카 축제의 기원이 되었다는 사실은 잘 알고 계시겠지요.(12장 참조) 물론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이 구약의 파스카 축제가 십자가에 달리신 하느님의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되었음을 기념하는 파스카 성삼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상 속에 무디어져 그저 하루하루 별 탈 없이 지나가는 것에 만족하기 쉬운 우리의 삶입니다. 궁중에서 그저 그렇게 유복한 삶을 누리며 편안히 살 수도 있었을 모세, ‘일상에의 안주’라는 가장 큰 유혹을 떨쳐버리고 하느님의 길을 나섰던 그분이 우리를 그 광야 여정에로 초대합니다. 영적인 나태함도, 편안함에 대한 집착도 다 내려놓고 바로 지금 서둘러 모세를 따라 나선다면, 우리의 오늘 역시 ‘하느님과 함께 걷는 은총의 광야’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