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로그인

현장탐방 - 순교자 이선이 엘리사벳 순교 150주년 기념미사
“죽어도 성교를 믿겠소!”


취재|김명숙(사비나) 편집실장



하느님을 향한 굳센 믿음 하나로 기꺼이 목숨을 내놓은 이선이 엘리사벳과 배도령 스테파노의 순교 150주년을 기념하는 미사와 기념식이 순교자 성월의 끝날인 9월 30일(목) 오전 10시 30분 칠곡군 지천면 연화리 신나무골 성지에서 있었다. 대구대교구 교구장 직무대행 조환길(타대오) 주교 주례로 성대하게 거행된 이날 미사는 성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이형우(시몬베드로) 아빠스를 비롯하여 수도회·교구 사제단, 평신도 등 2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1부 기념미사봉헌과 2부 기념식 순으로 진행되었다.



1부 기념미사 강론에서 행사준비에 애쓴 모든 이들과 참석한 모든 이들에게 하느님의 축복을 빌어준 대구대교구 교구장 직무대행 조환길 주교는 “하느님의 진리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을 ‘순교(殉敎)’라고 말하는데, 순교자들은 하나밖에 없는 자신의 목숨을 하느님을 증거 하기 위해 기꺼이 바치셨다.”며 “현재를 사는 우리도 믿지 않는 이들에게 하느님을 증언하는 삶을 살 때 순교자의 후손답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론했다. 계속해서 조환길 주교는 이번 행사의 의의에 대해 “이선이 엘리사벳과 배도령 스테파노는 우리 가까이에서 살면서 그 굳센 신앙으로 목숨을 바쳤기에 순교 150주년 기념미사를 봉헌하는 성대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2부 기념식은 신동성당 주임 서경윤(알베르토) 신부의 이선이 엘리사벳 순교과정과 성지연혁에 대한 보고, 조환길 주교의 기념사, 이형우 아빠스의 격려사, 장세호(마르티노) 칠곡군수의 축사, 1대리구장 이용길(요한) 주교대리 신부와 5대리구장 여창환(라우렌시오) 주교대리 신부의 헌화, 합동참배예식, 장엄강복 순으로 이어졌다.

대구대교구 최초의 본당 터로 대구대교구의 역사가 시작된 곳이기도 한 신나무골 성지에서 이번 행사를 개최하기까지 물심양면으로 애쓴 신동성당 주임 서경윤(알베르토) 신부는 경신박해의 전반적인 역사에 대해 설명하면서 “당시 고문과정에서 아무런 법적 절차 없이 포졸들이 작두를 가져와서 이선이 엘리사벳과 배도령 스테파노의 목을 잘라 죽였기에 그들에 관한 명문화된 순교 자료가 없는 상황”이라며 안타까워했다. 하지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남겨 준 그들의 신앙을 본 받아 우리 모두 신앙을 증거 하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할 것”이라고 당부하였다.

죽음 앞에서도 당당하게 하느님을 증거하며 영원한 생명의 길을 따라 목숨 바쳐 신앙을 지킨 이선이 엘리사벳과 배도령 스테파노 순교자. 이들 모자(母子) 순교자는 150년이라는 세월을 뛰어넘어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영원히 산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이선이 엘리사벳 순교 150주년을 맞아 처음 선보인 ‘이선이 엘리사벳과 배도령 스테파노의 초상화’는 대구가톨릭미술가회 담당 겸 큰고개성당 주임 김도율(요셉) 신부가 맡아 그렸다.

* 이선이 엘리사벳은 경주 이씨의 양반가문에서 태어나 성산 배씨 배정모와 혼인하여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던 중 경신박해가 일어나자, 박해를 피해 남편 배정모와 아들 셋(맏딸은 이미 출가)과 함께 신나무골 신자촌으로 피신하여 들어오게 된다. 하지만 신나무골에도 포졸들이 들이닥치자 다시 한티로 피신을 하였으나 뒤따라온 포졸들에게 잡혀 고문을 당하게 된다. 남편 배정모와 어린아들 둘은 혹독한 고문을 못 이겨 배교를 하고 풀려났으나, 이선이 엘리사벳은 모진 고문에도 끝까지 “죽어도 성교를 믿겠소.”라고 말하며 뜻을 굽히지 않자, 화가 난 포졸들은 이웃 민가에서 가져온 작두로 목을 잘라 무자비하게 죽이고 만다. 장남 배도령 스테파노도 어머니 이선이를 따라 “죽어도 성교를 믿겠소.”라고 말하니, 그 역시 작두로 목이 잘려 죽는다. 그날은 1860년 2월 29일(윤달, 음력 2월 8일)로, 순교 당시 이선이 엘리사벳의 나이 42세, 배도령 스테파노의 나이 16세였다. 이후 이선이 엘리사벳의 유골은 1984년 7월 8일, 선교 200주년을 맞아 당시 대구대교구장 서정길(요한) 대주교의 집전으로 칠곡에서 신나무골로 이장하여 현재의 모습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