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로그인

교계제도 설정 및 대구대교구 승격 50주년을 맞아
교계제도 설정 및 대구대교구 승격 50주년의 의의


정태우(아우구스티노)|신부, 문화홍보실장·전산실장·월간 <빛> 주간

1962년 3월 10일, 교황 요한 23세께서는 한국에 교계제도를 설정하시고 서울, 대구, 광주의 세 관구를 설립하셨으며 한국의 감목대리구들을 교구와 대교구로 승격하도록 명하셨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대목구는 서울대교구로, 대구대목구는 대구대교구로, 광주대목구는 광주대교구로 승격되고 다른 대목구들도 교구로 승격되었습니다. 각 대교구의 교구장은 대주교로 승품하였고 각각 해당 관구의 관구장을 겸임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대구대목구의 교구장이었던 서정길 요한 주교님은 대구관구장이자 대구대교구장 대주교가 되셨습니다.

대구대교구는 같은 해 7월 5일 주교좌 계산성당에서 서정길 요한 대주교님의 착좌와 함께 교계제도 설정 및 대교구 승격 축하식을 성대하게 열었습니다. 교구의 모든 사제들은 서정길 대주교님께 충성서약을 새로이 하였고, 착좌식이 끝난 후 계산성당 앞마당에서는 내·외빈과 교우들이 운집한 가운데 축하식이 벌어졌습니다.

대목구(Vicariatus Apostolicus)는 아직 교구가 되기에는 여건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았지만 조만간 교구로 승격될 만한 선교지역으로서, 감목(대목구장이라고도 함)이 교황성하의 이름으로 교구장의 역할을 맡아 사목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대구대목구가 대교구로 승격한 것은 그러므로 대구지역의 교회가 스스로의 힘으로 복음을 전하고 주님의 제자로서 구원의 도구 노릇을 할 만큼 성숙하였다는 것을 교황님과 보편교회로부터 인정받았다는 것을 뜻합니다.

2012년 3월 10일은 대구대목구가 대구대교구로 승격한 지 50년이 되는 날입니다. 달리 말하면 대구대교구의 교우들이 이 지역에 스스로 복음을 전할 자격과 능력을 갖추었다고 인정받은 지 50년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과연 대구대교구는 하느님의 은혜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이미 지난해에 100주년을 맞이하였으며 이제 새로운 세기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100년의 시작이 대교구 승격 50주년과 맞물려 있는 것은 참으로 의미심장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그동안 우리 교구를 이끌어 오신 하느님께서 외적인 성장뿐 아니라 내적인 성숙이 그 깊이를 더하도록 우리를 초대하시는 표지라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이제 교구의 모든 교우들이 주님 말씀의 능력으로 새로워지고 거룩한 성사의 은총 안에서 하나가 되어, 하느님 백성의 완전한 형태가 우리 삶을 통해 드러나는 새로운 복음화의 시대를 열어가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