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8년간 자살률 67.4% 증가! 하루 자살자 평균 42.6명! 이제 이런 보도가 우리에게 더 이상 놀라움을 주지 않을 만큼 한국사회의 자살문제는 심각성의 도를 넘어섰다. 국가에서도 자살을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살의 원인과 실태 및 대책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자살예방법을 제정하고 지역사회에 자살예방을 위한 기관들을 설립하는 등 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 속에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사실은 실제로 자살 충동을 느꼈던 80~90%의 사람들이 자살하고 싶다는 그 마음을 털어놓는 대상이 가장 가까이에 있는 가족, 친구 및 주변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변에서 자살하고 싶다는 사람을 직접 만났을 때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엉뚱한 얘기 하지 말라며 무시한다. 또 위험성에 대해 느끼기는 하더라도 자살이라는 단어가 주는 두려움과 불안으로 적극적인 대처를 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자살’을 고민하는 누군가에게 ‘살자’는 마음을 전하는 친구가 꼭 필요하다. 자살시도의 경력이 있는 사람, 심한 우울감과 피로에 시달리는 사람, 자살의도를 말하는 사람, 초조해하고 불안해하다가 갑자기 차분해진 사람, 최근에 가족 혹은 건강을 잃은 사람, 자신의 죽음이 주위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있는 사람 등은 자살의 위험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또 자살 가족력이 있거나, 죽은 가족에 대한 죄의식을 자주 표현하거나, 사람의 무가치성을 강조하거나, 알코올에 중독되었거나, 자살하겠다는 말을 자주하고, 갑자기 성직자나 의사 혹은 동료를 찾아가거나 우울증세가 심각해졌다면 수일 내에 자살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라고 평가된다. 이런 사람들에겐 ‘살자’는 마음을 전하는 친구의 관심이 더욱 절실하다.
자살 가능성이 높은지 낮은지 잘 확인되지 않을지라도 혹여 나에게 ‘죽고 싶다’고 털어놓는 사람이 있다면 비밀을 지켜주며 긴밀하게 대화할 수 있는 장소에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그 사람의 말을 경청해 주는 관심이 필요하다. 경청하는 그 자체가 자살하고자 하는 절망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자살하려는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목적은 불신, 좌절, 희망, 상실로 인해 생긴 마음의 골을 메우고, 상황이 지금보다 더 나아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하는 것이다.
자살 문제는 적극적인 도움이 있다면 100%까지는 아니더라도 80%의 예방이 가능하고 자살 충동의 고비만 잘 넘긴다면 평생을 건강하게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그리고 자살하려는 사람은 꼭 죽고야 말겠다는 결심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마지막 순간까지도 죽을까 말까를 고민하며 망설이는 사람들이다. 누군가 그들을 위하여 조금이라도 마음을 열어주고 도움을 주려 한다면 그 결심은 바뀔 수 있을 것이며, 그러기에 가까운 사람의 관심과 적절한 대처는 자살예방을 위한 중요한 소임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생명의 친구가 되어 주기…
1.자살하고 싶은 사람을 만났을 때 우리의 대처해야 할 일
- 경청하고, 애정을 보이고, 침착해야 한다.
- 지지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보인다.
- 상황을 주의깊게 보고, 위험 정도를 평가한다.
- 이전의 자살시도에 대해 질문한다.
- 자살계획에 대해 질문한다.
- 시간을 끈다.
- 여러 가지 가능한 지지를 찾아본다.
- 가능한 자살에 이용될 수 있는 도구들을 제거한다.
-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사실을 알리고, 정신과 전문의 및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한다.
- 자살위험이 높은 경우 그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2. 해서는 안 되는 일
- 그 상황을 무시한다.
- 충격을 받거나 당황해 하며 공포에 질린 태도를 취한다.
- 막연하게 모든 것이 잘 될 것이라고 말한다.
- 혼자서 그 상황을 헤쳐 나가라고 말한다.
- 문제를 별 것 아닌 것으로 축소한다.
- 불충분한 거짓된 말로 안심시킨다.
- 비밀을 지키겠다고 맹세한다.
- 그 사람을 혼자 내버려둔다.
3. 자살예방 관련 홈페이지
· 희망클릭 http://www.hopeclick.or.kr
· 한국자살예방협회 희망터치 http://www.keepintouch.co.kr
· 생명나눔 자살예방센터 http://www.my-life.or.kr
4. 자살예방 관련 상담전화
기관명 대표전화 설명 업무시간
자살예방핫라인(전국) 1577-0199 정신보건센터 자살상담 대표 전화 24시간
생명의 전화 1588-9191 민간자살상담 대표 전화 24시간
보건복지콜센터 희망의 전화 129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상담 전화 24시간
한국청소년상담원 1388 청소년 상담 대표전화 24시간
한마음한몸자살예방센터 1599-3079 10:00~21:30(월~토)
(청소년자살예방상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