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선선해지는 가을철이 되면 가을철 열성질환이라는 병이 뉴스에 자주 나온다. 가을철 열성질환은 야외활동이 빈번해지는 추석 전후로 해서 9월부터 11월까지 주로 발생하는데, 열을 동반한다고 하여 가을철 열성질환이라고 불린다. 가을철 열성질환은 주로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 출혈열의 3가지 질환으로 모두 제3군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쯔쯔가무시증은 농사, 등산, 밤줍기, 야유회, 벌초 등 야외활동 중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서 감염된다. 쯔쯔가무시증은 지난해의 경우 86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했을 만큼 가을철 열성질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증상으로는 1-2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오한, 두통, 피부발진,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징적으로 딱지 같은 가피가 몸 피부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야외활동 후에 감기증상과 함께 몸의 발진 및 가피가 나타나면 즉시 병원진료를 받아야 한다. 쯔쯔가무시증은 진드기에 물려서 생기는 것이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이고 야외활동시 긴 옷과 양말을 착용하고, 풀밭에는 눕지 말며, 야외활동 후에는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하여 진드기를 제거하고 작업복이나 속옷, 양말 등을 세탁하는 것이 좋다.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이 소변으로 균을 흙, 개울, 논둑물, 강물 등을 오염시키며 사람이 오염된 소변에 직접 접촉하거나 오염된 흙이나 물에 노출되어 감염된다. 증상은 열, 오한, 근육통, 결막충혈 등 가벼운 감기증상부터 황달 등 치명적인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전에 비해 발병이 연간 50명 이하로 줄고 있으나 논밭이나 개울 등에서 일할 때 반드시 장화, 양말, 긴 옷, 토시 등을 착용하는 것이 좋고, 될 수 있으면 오염된 물과의 피부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
신증후군 출혈열은 예전에 유행성 출혈열이라고 불리던 것으로,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 등에 의한 열성질환이다. 지난해에는 36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쥐의 타액, 소변, 분변이 공기 중에 건조되어 사람의 호흡기를 통하거나 직접 상처에 노출되어 감염된다. 1-3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신부전, 출혈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데, 치료는 특이치료가 없고 임상증상에 따라 대증요법을 실시하며 절대안정을 요한다. 신증후군 출혈열의 고위험군인 군인, 농부, 야외활동이 빈번한 사람과 노출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사람에게서 예방접종이 권장되며, 예방접종은 총 3회로, 한 달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1년 뒤에 다시 1회 접종한다.
가을철 열성질환은 2012년도에 약 9000명 정도가 발생하였다. 쯔쯔가무시증은 진드기에 물려서, 렙토스피라증은 오염된 물에 노출되어, 신증후군 출혈열은 쥐 배설물에 직접 노출되거나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므로 이에 대한 예방책이 필요하다. 야외활동을 해야 할 때는 양말을 신고, 긴 옷을 입되, 야외 풀밭에는 눕지 말고 오염된 물에는 접촉하지 말고 집에 돌아와서는 옷 세탁과 샤워를 해야 한다. 그리고 신증후군 출혈열에 대한 고위험군에서는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야외활동 후에 열이 난다면 가을철 열성질환을 생각해보고 반드시 병원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