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로그인

사순절이란?
사순절, 그 기원과 의미


김명숙(사비나)|본지 편집실장

‘사순절(四旬節)’이라는 말은 라틴어 ‘tempus quadragesimae’에서 나온 말로, 예수 부활 대축일을 준비하는 40일을 의미한다. 영어권에서는 이 시기를 Lent라고 부르는데, 이 말은 고대 앵글로색슨어  Lang에서 유래된 말로 독일어의 Lenz와 함께 ‘봄’을 뜻한다. 한자어 四旬에서의 ‘旬’역시 10(열흘)을 뜻하는 말이니, 결국 40일을 말한다.

그래서 이 시기는 재의 수요일로부터 성목요일 주님의 만찬 미사 전까지 예수 부활 대축일을 준비하는 회개와 보속 그리고 더 깊은 기도로 지내는 40일간의 기간을 의미한다.

 

또한 이 시기는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고난을 받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에 참여하기 위하여 거의 초대 교회때부터 설정된 ‘준비기간’(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는 사순시기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325년 니체아공의회에서 처음으로 40일간의 준비기간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므로 그 이전에 이미 준비기간으로 40일간을 보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이며, 다른 어떤 시기보다 더 깊이 주님과 일치해야 하는 시기이다.

 

그렇다고 해서 다른 시기에는 소홀히 해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 다만 바쁜 일상생활 안에서 잠시 잊혀질 수 있는 주님과의 일치에 대해 이 시기만이라도 좀더 마음에 새기고 살아간다면 우리들의 사순절은 그 의미가 더욱 살아날 것이다.

 

사순 시기

사순절은 예수 부활 대축일 전 40일간의 준비기간을 말하는데, 이 시기가 현재와 같이 고정되기에는 오랜 시일이 걸렸다. ‘40’이란 숫자는 하느님을 만나기 전에 거치는 정화의 기간을 뜻하는 성서의 상징적인 숫자로 기억된다. 즉 이스라엘의 40년 동안의 시나이 사막에서의 방랑, 모세의 40일 동안의 단식, 그리스도의 40일 동안의 단식 등이 그것이다.

 

여기에서 ‘사순’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 그런데 ‘주일(Dies Domenica)’은 ‘주님의 날’로써,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기쁨의 날이므로 단식은 금지되었다.

 

이리하여 부활 전 6주간이 42일이지만 주일을 빼면 36일밖에 안되므로, 바로 그 전 주에 4일을 포함시켜 40일을 만든 것이다. 바로 여기서 사순절 시작을 부활 전 7주의 수요일로 여겼고, 이 날 머리에 재를 얹는 예식을 통하여 사순절의 시작을 알렸으므로, 이 날을 ‘재(災)의 수요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5세기 무렵에 이루어졌으며, 교황 그레고리오 1세에 의해 정착되기 시작했다.

 

사순절의 유래

사순절은 초대교회 신자들이 그리스도께서 우리 인간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 지심을 묵상하며, 주님이 겪은 수난에 동참한다는 의미를 지닌 ‘단식’을 행함에서 유래되었다. 유대인들은 과월절(파스카축제)을 준비하기 위해 단식을 행하였고, 초대교회 신자들 역시 신약의 파스카인 부활 대축일을 준비하기 위하여 단식을 행하였다.

 

사순절의 단식은 수세기 동안 매우 엄격하게 지켜졌었다. 식사로는 저녁 전에 한끼 식사만 허용되었고, 물고기와 육류는 물론 우유와 달걀로 만든 음식까지 금지되었었다. 그러던 것이 8세기 이후부터 완화되기 시작하여 14세기에는 단식기도 대신 절식기도가 행해졌고, 15세기에 와서는 정오에 식사하는 일반적 관습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러나 사순절 기간 동안 연극·무용과 같은 오락행위는 금지되었으며, 화려한 옷을 입거나 좋은 음식을 먹는 것, 호화로운 생활을 하는 것 등은 자제되었다. 대신 자선과 단식 그리고 기도가 권장되었다. 한편 어떤 곳에서는 사순절 시작 전, 즉 재의 수요일 전 3일 동안 ‘사육제(carnivale)’가 거행되기도 했다. 사육제는 원래 ‘고기여(Carni)’, ‘안녕(vale)’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다분히 이교적인 영향을 받은 이 축제기간에는 사순절과 대조적으로 술과 고기를 먹었으며, 가장행렬 등으로 축제분위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사순시기 관습

① 성지(종려나무) 가지의 재로 이마에 십자가 긋기

재의 수요일 예식에 사용되는 재는 지난해 예수 부활 대축일에 축성받은 성지가지를 태워 만든 것으로, 사제의 축복을 받아 사용된다. 재의 수요일 미사에서 사제는 강론이 끝나면 신자들의 이마에 재를 얹어 십자가를 그으면서 “사람은 흙에서 왔으니 흙으로 돌아갈 것임을 생각하십시오.”(창세 3,19참조)라고 말한다. 여기서 재의 의미는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통회, 참회, 덧없음의 상징으로 다가온다. 즉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인간의 나약함은 하느님 안에서만이 영원한 구원을 얻을 수 있음을 재의 예식을 통해 주님은 우리에게 알려준다.

 

② 단식기도

단식은 사순절의 가장 중요한 관습이다. 시기와 장소에 따라 기간과 그 엄격성의 차이는 있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을 기리고 하느님의 자녀됨을 감사하며 하느님의 자녀로서의 삶을 돌이키게 한다. 오늘날 행해지는 단식기도는 초기 형태에서 많이 변형되어 절식(節食)기도(한끼는 단식, 한끼는 요기, 한끼는 정상식)의 형태로 대체되었지만, 그 의미가 변한 것은 아니다.

 

③ 자선행위

사순절에는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당신의 몸을 바치신 그리스도를 기억하는 의미에서 가난한 이웃을 위한 자선행위가 장려되었다. 이는 단식기도를 통해 주님의 수난에 동참함으로써 자신의 회개뿐만 아니라, 가난한 이웃에게 베푸는 사랑의 행위를 통하여 주님의 수난에 더욱 완전하게 참여하게 된다는 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회개의 삶은 자신의 가슴을 치는 통회에 그치지 않고 사랑의 실천에 의해 더욱 완성된다.

하느님의 자녀로서 그리스도의 희생적인 사랑을 기억하며, 이웃을 위해 자신을 바치는 자선행위는 사순절의 의미를 더욱 풍요롭게 하는 애덕활동 가운데 하나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은 우리를 향한 절대적 사랑의 표현이다. 사순절에 우리는 다시금 그 무한한 사랑에 젖어드는 기쁨을 맛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사순절이라는 그 형식에 얽매이기 보다 그 의미를 생각하며 능동적이고도 실제적으로 주님의 수난에 함께 참여하는 은혜로운 시기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사순절 동안 주님의 수난에 깊이 참여할 때, 비로소 우리의 부활은 더 큰 기쁨으로 가슴가득 충만하게 전해 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