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가전제품에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라는 표시가 있다. 이 표시는 소비자가 똑같은 에너지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품의 효율성을 등급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사랑에도 ‘효율성’이라는 것이 있을까? 부모의 사랑 또한 100% 그대로 자녀들에게 전달될 수 있을까?
많은 부모들은 자녀를 위해 일하고 희생함으로써 자신들의 사랑이 당연히 자녀들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자녀들 또한 자동적으로 부모의 사랑을 그대로 느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부모는 자녀들을 끊임없이 사랑하고 자녀를 위해 희생하고 있지만, 자녀들의 ‘사랑의 탱크(Love Tank)’는 비어 있을 때가 많다. 이러한 모순은 사랑 자체보다 사랑이 자녀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데 그 원인이 있다. 문제는 사랑이 아니라 그 사랑을 ‘전달하는 방법’인 것이다.
어떻게 하면 부모의 사랑을 자녀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을 것인가? 그것은 자녀들의 ‘사랑의 언어’를 발견하고 그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자녀들에게 필요한 물질적 요소들은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채워주기도 쉽지만 가장 중요한 사랑의 요소들은 발견하기 어려울 뿐더러 채워주기도 어렵다. 자녀의 사랑의 언어를 발견한다는 것은 부모의 사랑을 전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발견하는 것이다.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five love language)
사랑의 언어란 무엇인가? 우리가 사랑을 표현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방법은 수천, 수만 가지가 넘는다. 그런데 미국의 심리학자이며 카운셀러인 그레이 챕먼(Gary Chapman)과 로스 캠벨(D.Ross Campbell) 박사는 지난 수십 년 간의 임상 경험과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사랑을 표현하고 받아들이는 수많은 방법들을 크게 다섯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것이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five love language)’이다.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는 지난 1월호에서 6월호에 걸쳐 소개하였다. 이것을 다시 한번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긍정적인 말(Affirming Words). 긍정적인 말로써 사랑을 표현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칭찬, 격려, 감사, 위로 등의 사랑을 담은 긍정적인 말을 통해서 자신의 사랑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가장 쉽게 사랑을 받아들인다. 긍정적인 말을 자신의 사랑의 언어로 가진 사람들은 칭찬과 격려와 같은 긍정적인 말을 들을 때 가장 큰 기쁨과 사랑을 느끼게 되고, 사랑을 표현할 때도 긍정적인 말로써 자신의 사랑을 표현한다.(2월호 참조)
둘째, 친밀한 시간(Quality Time). 사랑을 바탕으로 친밀한 시간을 가짐으로써 사랑을 표현하고 느끼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물리적인 거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자신을 개방하고 서로에게 온전한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다. 친밀한 시간을 자신의 사랑의 언어로 가진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시간을 보낼 때 가장 빠르게 사랑을 느끼며, 사랑을 표현할 때도 친밀한 시간을 만들어 자신의 사랑을 표현한다.(3월호 참조)
셋째, 사랑의 봉사(action of service). 구체적인 행동, 즉 봉사를 통해 상대방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것이다.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에 이르기까지 봉사의 종류에는 끝이 없다. 자신의 사랑의 언어를 소유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는 봉사에서 큰 감동과 사랑을 느끼며, 사랑을 표현할 때에도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무엇인가 봉사할 것을 찾는다.(4월호 참조)
넷째, 선물(Gift).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랑을 선물을 통해 볼 수 있게 표현하는 것이다. 진정한 선물 속에는 건네는 사람의 사랑이 들어있다. 선물을 자신의 사랑의 언어로 가진 사람들은 선물 안에서 큰 의미와 사랑을 발견하고 사랑을 표현할 때도 의미 있는 선물들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5월호 참조)
다섯째, 사랑의 스킨십(Physical Touch).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건네는 스킨십을 통해 사랑을 표현하는 것이다. 부모가 자녀를 안아주고, 입을 맞추고, 쓰다듬어 주는 것과 같은 스킨십은 의심의 여지없이 부모의 사랑을 자녀에게 전달해 주는 강력한 사랑의 언어이다. 만일 자녀의 사랑의 언어가 스킨십이라면 부모의 스킨십을 통해 자녀는 부모의 사랑을 깊이 느끼게 된다.
고유한 사랑의 언어(primary love language)
우리는 이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를 모두 사용하면서 사랑을 표현하고 받아들인다. 그런데 우리는 이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 중 자신에게 가장 익숙하고 편안하게 느껴지는 하나의 언어를 자신만의 ‘고유한 사랑의 언어(primary love language)’로 가진다. 마치 외국어를 사용하더라도 한국말인 모국어가 가장 익숙하고 편안하듯이 사랑의 언어도 가장 익숙하고 편안한 자신만의 ‘고유한(primary)’사랑의 언어가 있는 것이다.
이 고유한 사랑의 언어는 어린 시절 부모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게 된 고유한 사랑의 형태에 따라 자신만의 고유한 사랑의 언어로 형성된다. 그리고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제2, 제3의 사랑의 언어를 배우게 된다.
우리가 사랑을 효과적으로 전해주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사랑의 언어를 배우고 그것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녀들의 사랑의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부모의 사랑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배운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녀들은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 중에서 가장 쉽고, 가장 편안하게 사랑을 느끼는 자신만의 사랑의 언어를 가진다. 만일 부모가 자녀의 사랑의 언어를 발견하고 그것을 말해줄 때, 자녀들은 보다 더 익숙하고 편안하게 사랑을 느끼게 되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부모의 사랑이 전달 될 것이다.
그렇다면 자녀의 사랑의 언어를 어떻게 발견할 것인가? 다음 호에서는 부모의 사랑을 자녀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자녀들의 사랑의 언어를 발견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